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 알아 보기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 알아 보기

by 21시간전 2023. 5. 12.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서울시가 사회에 첫걸음을 내딛는 청년들의 이동권 보장과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연간 10만원 한도의 교통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사업을 진행 중 입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24세 이하 청년들은 신청 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금 등록된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원
Only 온라인 신청 티머니 교통비 지원 신청하기(바로연결)
카드사 교통비 지원 신청하기 (바로연결)

서울시가 등록된 본인 명의의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원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23년 1월 1일부터 12월31일까지 이용한 교통카드 결제 내역을 정산하여 신청하면 해당 금액의 20%를 교통 마일리지로 적립해 주는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 기간

신청 기간은 3월 28일부터 5월 31일 오후 5시까지입니다.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대상

  • 신청일 기준(23년3월 28일~5월 31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서울시인 청년
  • 만 19세~ 24세 (98년 1월1일생~ 04년생 12월31일생) 청년
  • 단, 서울 청년수당, 서울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사업에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사람은 제외 대상입니다.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신청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교통비지원 신청하러 가기

티머니 선불 교통카드 (카드번호 101으로 시작하는 카드, 삼성페이, 모바일 티머니, 티머니 플레이트 카드)

삼성, 신한, 우리,하나, 현대, KB 국민, IBK 기업은행 BC, 하나 BC, BC바로 카드가 등록 가능한 카드이니 참고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 시 주의사항

  • 본의 명의의 교통카드로만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 카드사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으면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습니다.
  • 자세한 문의 사항은 콜센터 1644-9241로 문의
 

서울시 2023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신청 방법

이사비와 부동산 중개비는 청년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울시는 청년들의 이사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부동산 중개보수비, 이사비, 종이가구 구입비 등을 지원하여 청년들이

chicoo100.tistory.com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전국 해당 매월 20만원씩 최대 12개월 지원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사업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대상으로 월세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년 월세 한시 특별

chicoo100.tistory.com

 

 

서울시 성동구 탈모 치료 지원비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 알아 보기

서울시 성동구에서 2023년부터 만 39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탈모 치료 지원 사업을 신규로 진행 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신청 기간 내 지원하여 도움 받아 보세요. 서울시 성동구

chicoo100.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5년 적금하면 5000만원 목돈 마련 가능

청년도약 계좌란? 청년도약 계좌는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어온 현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청년들이 목돈마련을 하는데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

chicoo100.tistory.com

 

서울에서 부산역까지 70%할인받아 가는 방법

부산과 동대구 아주 저렴하게 갈 수 있는 정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최대 70%까지 할인이 되니 개꿀입니다. 수서역>부산행 기준 52000원>15600원으로 최대 70% 할인 받아 저렴하게 갈 수 있습니다. 70

chicoo100.tistory.com

 

2023 서울시, 고립 청년들을 위한 '은둔청년지원사업' 모집 시작

은둔청년지원사업란? 고립과 은둔 상황에 처해있는 청년들이 삶의 활력과 동기를 얻어 사회로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심리상담 및 맞춤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주는 사업입니다. 신청 기준

chicoo100.tistory.com

댓글